DirectX11 – Pixel Shader

Pixel Shader는 레스터라이즈화를 거쳐 스크린에 표시될 픽셀들을 전달받아 이 픽셀의 컬러를 최종적으로 정하기 위한 렌더링 파이프라인의 마지막 부분에 해당하는 스테이지이다.

DirectX11 – Input Layout

Input Layout은 정점 쉐이더에서 사용할 정점에 대해 특성을 부여해준다.

DirectX11 – Vertex Shader

Vertex Shader는 렌더링 파이프라인의 스테이지 중 하나로 정점들을 처리하는 곳이다. 정점 버퍼에 있는 데이터들을 레스터라이즈화 하기 이전에 필요한 변환등을 수행한 다음 스테이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반환하게 된다.

DirectX11 – Vertex Buffer

DirectX11 API를 이용한 Vertex Buffer를 만드는 법에 대해 알아본다.

DirectX11 – 삼각형을 렌더링하기 위해 최소로 필요한 것

삼각형을 렌더링하기 위해 최소로 필요한 Vertex Buffer, Vertex Shader, Pixel Shader에 대해 개념을 알아본다.

UE5 – SliceProceduralMesh 함수 분석

Unreal Engine에서 메쉬를 단면으로 자르는 함수인 SliceProceduralMesh 의 코드를 분석한다.

서버에 워드프레스 설치

시놀로지 NAS에서 워드프레스를 설치해서 사용하다가 미니 PC에 우분투와 워드프레스를 설치했던 후기이다.

DirectX11 – API를 이용한 빈 화면 렌더링

백 버퍼를 생성하고 백 버퍼의 내용을 어플리케이션에 렌더링하는 법에 대해 설명한다.

Samsung Oddyssey G8 S27FG810

OLED 4K 240hz주사율의 모니터 S27FG810 모니터 구입 후기이다.

DirectX11 – 디바이스 객체

DirectX11을 통해 화면을 렌더링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. 첫번째로 필요한 COM 객체들 ID3D11Device, ID3D11DeviceContext, IDXGISwapChain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.